2025년 기준중위소득 및 소득별 복지제도

20245년을 기준으로 여러 제도의 기준이 될 2025년 기준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. 중위소득은 여러 복지지원의 기준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소득기준으로 매년 8월이면 발표되며 2025년은 2024년에 비해 6%정도 상승 되었습니다.

2025년 기준중위소득 정의


2025년 기준중위소득, 그리고 그 의미는?

기준중위소득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의 소득 중간값을 수치로 표현한 일종의 소득값을 의미합니다.

이 기준중위 소득은 다양한 복지정책의 대상을 산정하는 기준으로 적용됩니다. 따라서 기준 중위소득이 상승한 것은 그 자체로 기준선이 상향이동한 것을 의미합니다.

기준중위소득의 상승은 기준중위선이 상승한 만큼 해당 범위에 포함되는 대상자는 넓어지고 복지 혜택의 대상자가 늘어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그렇다면 2025년 기준중위 소득은 어떻게 변화 했을까요?

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4인가구5인가구6인가구
2024년2,228,445원3,682,609원4,714,657원5,729,913원6,695,735원7,618,369원
2025년2,392,013원3,932,658원5,025,353원6,097,773원7,108,192원8,064,805원
2024년 vs 2025년 기준중위소득 비교


가구 구성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한민국의 가장 보편적인 가구 구성원 수인 4인가족을 기준으로 보면 2024년에는 5,729,913원이던 기준중위소득은 올해 6,097,773원으로 대략 6.42%정도 상승했습니다.

기준중위 소득은 복지 제도의 기준인 기중중위소득 100% 수준을 의미하며 각 복지별로 적용되는 기준중위소득의 %는 제도별로 다르기 때문에 복지제도별로 확인해야합니다.

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4인가구5인가구6인가구복지대상
기준중위 32%765,4441,258,4511,608,1131,951,2872,274,6212,580,738생계급여
기준중위 40%956,8051,573,0632,010,1412,439,1092,843,2773,225,922의료급여
기준중위 48%1,148,1661,887,6762,412,1692,926,9313,411,9323,871,106주거급여
기준중위 50%1,196,0071,966,3292,512,6773,048,8873,554,0964,032,403교육급여
기준중위 60%1,435,2082,359,5953,015,2123,658,6644,264,9154,838,883
기준중위 70%1,674,4092,752,8613,517,7474,268,4414,975,7345,645,364
기준중위 80%1,913,6103,146,1264,020,2824,878,2185,686,5546,451,844
기준중위 90%2,152,8123,539,3924,522,8185,487,9966,397,3737,258,325
기준중위 100%2,392,0133,932,6585,025,3536,097,7737,108,1928,064,805
기준중위 120%2,870,4164,719,1906,030,4247,317,3288,529,8309,677,766
기준중위 150%3,588,0205,898,9877,538,0299,146,65910,662,28812,097,208
2025년 기준중위소득 비율별 적용 금액


2025년 기초생활보장 기준은?

기준중위 소득에 의해 결정되는 가장 대표적인 복지제도는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등의 항목입니다.

국민의 생활을 기본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제도들인 기초생활보장제도로 각 보장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들이 조금씩 다른 제도이기도 합니다.

해당 보장들은 2025년에도 2024년과 같이 생계급여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32%, 의료급여는 40%, 주거급여 48%, 교육급여 50%로 동일하게 적용이 이루어집니다.

기준 중위 소득 계산법


각 복지별로 달라지는 기준으로 인해 상기 표에 표시되어있는 비율이 아닌 다른 %의 2025년 기준중위소득이 필요하다면 위와 같은 형태의 식으로 계산하여 기준금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